
🖥️ 리눅스 서버의 가동 시간 확인하기 – uptime
명령어
서버 운영을 하다 보면 “이 서버가 재부팅 없이 얼마나 켜져 있었지?” 라는 질문을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명령어가 바로 uptime
입니다.
서버 환경은 다양합니다:
-
VMware, VirtualBox 같은 가상 머신
-
AWS, GCP, Azure 같은 클라우드 환경
-
회사 내부의 물리 서버
직접 설치했든, 이미 설치된 서버를 관리하든, 얼마 동안 재부팅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했는지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관리 포인트입니다.
1. uptime
명령어란?
uptime
은 리눅스 시스템이 부팅 후 얼마나 시간이 흘렀는지를 보여줍니다.
즉, 재부팅 이후의 경과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서버는 보통 24시간 × 365일 안정적으로 동작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몇 달, 몇 년 동안 재부팅하지 않고 운영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2. 실습으로 확인하기
레벨업 챌린지 실습 환경에서 uptime
을 직접 실행해 보았습니다.
uptime
출력 예시:
10:42:03 up 1 min, 1 user, load average: 0.00, 0.01, 0.05
-
현재 시간 :
10:42:03
-
부팅 후 경과 시간 :
1 min
-
현재 로그인 사용자 수 :
1 user
-
로드 에버리지(load average) :
0.00, 0.01, 0.05
실습용 VM은 바로 부팅된 상태라 1분
으로 표시되지만, 실제 회사 서버에서는 수주, 수개월 단위로 동작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3. 옵션 활용하기
① 부팅된 시각 확인하기 (-s
)
uptime -s
출력 예시:
2025-09-08 01:00:45
이 옵션은 부팅된 정확한 시간을 보여줍니다. 단,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
서버의 시스템 시간대(Timezone) 가 UTC(세계 표준시, 런던 기준)로 설정되어 있다면, 한국 시간(KST)과 9시간 차이가 발생합니다.
-
예를 들어, 실제 부팅 시간이 저녁 9시(KST)라면,
uptime -s
출력은 정오 12시(UTC)로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고용으로 사용할 때는 반드시 현재 시스템 타임존을 확인해야 합니다.
② 현재 시스템 시간 확인하기 (date
)
date
출력 예시:
Mon Sep 8 10:43:12 UTC 2025
여기서 UTC
가 붙어 있다면 국제 표준시 기준이라는 의미입니다.
한국 시간(KST)으로 보고 싶다면 타임존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이는 다음 실습에서 다룹니다.)
5. 추가 정보 – 로드 에버리지
uptime
출력에는 로드 에버리지(load average) 값도 함께 표시됩니다.
이는 시스템 부하 상태를 의미하며, CPU 사용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예:
load average: 0.00, 0.01, 0.05
-
첫 번째 값: 최근 1분 평균 부하
-
두 번째 값: 최근 5분 평균 부하
-
세 번째 값: 최근 15분 평균 부하
로드 에버리지는 서버 모니터링 시 매우 중요한 지표이며, 추후 별도의 실습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6.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uptime
명령어를 통해 리눅스 서버의 가동 시간과 부팅 시간을 확인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 정리하면:
-
uptime
→ 서버가 얼마나 켜져 있었는지, 사용자 수, 부하 상태 확인 -
uptime -s
→ 서버가 언제 부팅되었는지 확인 -
date
→ 현재 시스템 시간과 타임존 확인
👉 다음 글에서는 UTC → KST 타임존 변경 방법을 다루어, 출력 시간을 더 직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리눅스 기초 명령어 공부하고 싶다면 왕초보를 위한 리눅스 기초 강의를 참고하세요. https://reallinux.co.kr/course/linux_begi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