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상태 정보 확인하기 - Linux Master 2급 기출문제 해설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2023년 12월 9일에 출제된 Linux Master 2급 2차 필기 53번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이번 문제는 네트워크 활용과 관련된 문제이며, 네트워크 관련 문제는 기출문제에서 약 20문제 정도가 포함될 만큼 중요한 부분입니다.
네트워크 문제는 단순 암기로 접근할 수도 있지만, 조금만 변형되더라도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실습을 통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번 문제를 통해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과 관련 명령어를 익혀보겠습니다.
문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문제의 핵심은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여기서 상태 정보란 소켓 상태의 변화를 의미하며, 대표적인 상태로는 LISTEN
, SYN_SENT
, CLOSED
, TIME_WAIT
등이 있습니다.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
1. ip
명령어
ip addr ip link ip route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및 라우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상태 정보 확인보다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2. arp
명령어
arp -a
-
IP 주소와 MAC 주소 간의 매핑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
네트워크 상태 확인이 아니라, ARP 테이블(주소 해석 프로토콜)을 확인하는 용도입니다.
3. netstat
명령어 (정답)
netstat -tulnp
-
TCP/UDP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
옵션 설명:
-
-t
: TCP 연결만 표시 -
-u
: UDP 연결만 표시 -
-l
: LISTEN 상태의 포트 표시 -
-n
: 숫자로 된 IP와 포트 번호 표시 (DNS 해석 없이 출력) -
-p
: 프로세스 ID와 프로그램 이름 표시
-
sudo netstat -tulnp
-
sudo
를 사용하면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ss
명령어 (netstat 대체 명령어)
ss -tulnp
-
netstat
과 유사하지만 더 빠르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TCP/UDP 연결 상태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상태 정보 확인을 위한 실습
1. 현재 실행 중인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netstat -tulnp
-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포트 정보를 확인합니다.
2. 특정 포트의 상태 확인
netstat -an | grep :80
-
80번 포트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
웹 서버(Nginx, Apache 등)가 정상적으로 실행 중인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3. ss
명령어 활용
ss -tulnp
-
netstat과 유사하지만 속도가 빠르고, 상세한 상태 정보를 제공합니다.
네트워크 상태 확인의 중요성
네트워크 문제 해결 시, 현재 어떤 포트가 열려 있고, 어떤 상태인지 확인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웹 서버(Apache, Nginx), 데이터베이스(MySQL, PostgreSQL) 등 다양한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문제 정답 및 해설
문제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를 묻고 있으므로 정답은 4번 (netstat -tulnp) 입니다.
이번 문제를 통해 네트워크 상태 정보 확인 명령어를 학습하였습니다. 단순 암기가 아니라 실습을 통해 명령어를 익히면 실무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관련 문제는 Linux Master 2급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므로 실습을 통해 대비하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