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에서 마운트된 디스크 용량 확인하기 - Linux Master 2급 기출문제 해설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2023년 9월에 출제된 Linux Master 2급 2차 필기 기출 문제 중에서 6번 문제를 함께 풀어보겠습니다.
문제: 현재 마운트된 디스크의 남아있는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현재 마운트된 디스크의 남아있는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을 묻는 문제입니다. 단순 암기보다는 실습을 통해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운트(Mount)란?
마운트(Mount)란 디스크를 특정 폴더에 연결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윈도우에서는 C드라이브, D드라이브와 같은 논리적 구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
리눅스에서는
/
(루트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여러 저장 장치를 특정 경로에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실습 환경
-
리얼리눅스(RealLinux) 실습 환경을 사용
-
Rocky Linux 8을 기준으로 실습 진행
-
터미널을 두 개 실행하여 실습 환경 구성
디스크 용량 확인 명령어
1. DF 명령어 (정답)
df -h
-
df
(Disk Free)는 마운트된 디스크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
-h
옵션은 휴먼 리더블 (Human Readable) 포맷으로 출력하여 보기 쉽게 표시합니다. -
/
(루트 디렉터리)에 마운트된 디스크뿐만 아니라, 모든 마운트된 장치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2. DU 명령어 (폴더별 용량 확인)
du -sh /usr
-
du
(Disk Usage)는 특정 폴더의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
-s
옵션: 총합 표시 -
-h
옵션: 사람이 읽기 쉽게 표시
3. FDISK 명령어 (디스크 파티션 확인)
fdisk -l
-
fdisk
는 디스크의 파티션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
마운트된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 가능한 전체 디스크 정보를 출력합니다.
4. LSBLK 명령어 (디스크 및 파티션 확인)
lsblk
-
lsblk
는 디스크와 파티션 구조를 트리 형태로 보여줍니다.
마운트된 디스크의 개념 이해
리눅스에서는 /
(루트 디렉터리)에 여러 저장 장치가 마운트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f -h
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이 나올 수 있습니다: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vda1 20G 5G 15G 25% /
이 의미하는 바는:
-
/dev/vda1
디스크가/
에 마운트됨 -
총 20GB 중 5GB 사용됨
-
15GB의 여유 공간(Avail) 존재
마운트(Mount)와 언마운트(Unmount)
-
특정 디스크를 특정 폴더에 마운트하려면:
mount /dev/sdb1 /mnt
-
마운트 해제하려면:
umount /mnt
문제 정답 및 풀이
문제에서 현재 마운트된 디스크의 남아있는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를 묻고 있습니다. 정답은 1번 (df -h) 입니다.
이번 문제를 통해 마운트된 디스크 확인 및 용량 체크 방법을 실습과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단순 암기보다는 실습을 병행하면 더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